Bearish Continuation Candlestick Patterns-①Thrusting Line

 

- 진화되지 않은 돌파형

 

- 하락 추세에서 긴 음봉과 함께 주로 나타남

- 둘째 날 시가에 하락 갭(Gap)으로 출발하지만 반전하여 상승

 

- 비록 종가가 전일의 저점을 돌파하였지만 전일 음봉의 50%, 즉 미드 포인트(Mid-Point)를 넘지 못함 상승력 부족: 상승 시도 실패로 인한 하락 지속

 

- 매도세에 가담하기 위해 다음 날의 추이를 살펴보는 확인 과정이 필요

- 둘째 날 거래량이 많은 것이 통례

- 기존 하락 추세가 지속될 확률이 높음

 

●상승반전캔들-⑮상승 장악형(Bullish Engufling)

●상승반전캔들-③관통형(Piercing Line)

●하락지속캔들-②걸침형(On Neck)

●하락지속캔들-③진입형(In Neck)과 함께 공부하면 좋음

 

※하락지속캔들-①우물쭈물형(Thrusting Line)이 무조건적인 하락 지속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. 그냥, 참고만 하세요. 주식은 총체적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

상승반전캔들-③관통형(Piercing Line)

- 형태상으로 두 개의 몸통이 긴 캔들로 구성

- 첫 번째 음봉, 두 번째 양봉

- 하락 추세의 마지막에 나타남

- 두 번째 양봉이 첫 번째 음봉을 관통하여 상승하는 모양

- 반드시 두 번째 양봉이 첫 번째 음봉의 절반 이상을 상향 돌파

- 만약 그렇지 못하면, 하락지속캔들-걸침형(온넥:On Neck), 하락지속캔들-진입형(인넥:In Neck), 하락지속캔들-우물쭈물형(트러스팅 라인:Thrusting Line)의 하락지속형 패턴이 됨

- 두 번째 양봉의 상향 위치 정도가 심하여 첫 번째 음봉을 완전히 감싸면 상승반전캔들-⑮상승 장악형(불리시 인걸핑:Bullish Engulfing)이 됨

- 직전의 명확한 하락 추세, 두 번째 양봉이 지지 수준에 걸쳐짐, 두 번째 양봉의 거래량이 많음 → 상승 가능성이 높아짐

- 일반적으로 잘 나타나지 않고 신뢰도 낮음

 

 ●상승반전캔들-⑨상승 반격형(Bullish Counter-attack Line),

 ●하락반전캔들-㉒흑운형(먹구름형:Dark Cloud Cover),

 ●하락반전캔들-⑫하락 반격형(Bearish Counter-attack Line)과 함께 공부하면 좋음

 

※ 상승반전캔들-③관통형(Piercing Line)이 나왔다고 무조건적인 상승 반전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. 단지, 참고만 하세요. 주식은 총체적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

+ Recent posts